티스토리 뷰
목차
비행기 탈 때 보조배터리 반입 가능한 용량과 규정, 항공사별 차이까지 쉽게 정리했습니다.
빠르게 보조배터리 규정을 확인하시려면 아래 버튼에서 확인하세요.
해외여행이나 국내여행 갈 때 꼭 챙기는 게 바로 보조배터리잖아요.
근데 막상 공항 갈 때마다 드는 생각, "이거 비행기 반입돼?"라는 거예요.
괜히 공항 검색대에서 걸리면 난감하니까요. 그래서 오늘은 비행기 보조배터리 반입 규정에 대해 제대로 정리해 볼게요.
1. 보조배터리 기내 반입 가능 기준
가장 핵심적인 기준은 바로 용량이에요. 항공사나 국가를 떠나 대부분의 경우
100Wh(와트시) 이하의 보조배터리는 문제없이 기내 반입이 가능해요.
100Wh 초과 160Wh 이하인 경우는 항공사 승인 후 반입이 가능한 경우도 있고요.
하지만 160Wh를 넘는 배터리는 대부분 반입이 금지돼요.
여기서 잠깐, Wh 계산법 간단히 알려드릴게요.
보조배터리 용량 표기에 보통 mAh(밀리암페어시), V(볼트) 값이 있어요.
계산식은 : (mAh ÷ 1000) × V = Wh
예를 들어 10,000mAh에 3.7V 제품이면 (10000 ÷ 1000) × 3.7 = 37Wh
즉, 이 제품은 기내 반입이 정말 가능하다는 뜻이죠.
2. 위탁수하물에 넣어도 되나요?
결론부터 말하자면 안 됩니다.
보조배터리는 절대 위탁수하물에 넣으면 안 돼요.
리튬이온 배터리는 화재 위험 때문에 반드시 기내에 들고 타야 해요.
공항에서도 X-ray 검색할 때 이 부분 특히 많이 확인합니다.
3. 항공사별 세부 규정은?
대표적인 항공사 기준도 한번 볼게요.
- 대한항공: 100Wh 이하는 승인 없이 반입 가능, 100~160Wh는 승인 필요
- 아시아나항공: 위와 동일하게 적용
- 제주항공, 진에어, 티웨이 등 LCC 항공사도 동일한 기준 적용 중이에요
그 외 외국 항공사들도 대부분 IATA(국제항공운송협회) 기준을 따르기 때문에
위 기준을 알면 웬만한 항공사는 다 커버된다고 보면 됩니다.
4. 보조배터리 외에 유의할 점
- 노트북 배터리, 전동 킥보드 배터리 등도 규제 대상이에요
- 여러 개의 보조배터리를 소지할 경우 개수 제한이 있는 경우도 있어요
- 배터리가 부풀었거나 손상된 제품은 반입이 거절될 수 있어요
5. 자주 묻는 질문 정리
- Q. 보조배터리를 가방 안에 넣어도 되나요?
- A. 네, 기내에 들고 타기만 하면 문제없습니다. 가방 안에 넣는 건 괜찮아요.
- Q. 충전 중이던 보조배터리는 괜찮나요?
- A. 비행기 탑승 전엔 충전 완료 후 가져가시는 걸 추천드려요.
- Q. 기내에서 사용 가능한가요?
- A. 대부분의 항공사에서 비행 중 사용 가능합니다. 단, 안내에 따라 주세요.
보조배터리 규정 어렵게만 느껴졌다면 오늘 이 글로 확실히 정리되셨을 거예요.
가장 중요한 건 100Wh 이하, 기내 반입 필수, 이 두 가지 기억하면 끝이에요.
여행 전에 꼭 보조배터리 스펙 한번 확인해 보고, 걱정 없이 떠나세요.
아로스 팝업